본문 바로가기
디자이너 '레테리아 후제'의 스니키 유 머그컵
푸른 ‘뱜’ 프라이스 입니다
2025 을사년 해맞이 청사(靑蛇) 디자인 상품 추천

새해 뱀 많이 받으세요! 푸른 뱀의 해 2025년을 기념하는 선물, 뱀띠 사람에게 생일선물하기 좋은 아이템을 소개합니다.

frice’s eyes | 시선
대한 아트워크 이미지 을사년의 뱀을 연한 파랑의 눈송이와 흑백의 컬러팔레트로 표현한 신년맞이 아트워크 일러스트
겨울을 매듭짓는 마지막 절기
24 대한

스물네 번째 절기 *대한*(01/05)입니다. 겨울을 보내고 새봄을 맞게 될 진정한 새해를 기다리며!

K-alendar | 아트워크
고사테 강동수님이 수집한 한국의 벽지들
한국의 벽지를 수집하다
고사테 강동수

한국의 벽지를 수집하는 강동수님을 만났다. 광주 구도심의 2층 창고에 들어가 깊은 세월이 묻어있는 종이 냄새를 맡으며 수집가의 아카이브를 살펴본다.

어쩔K | 수집가들
소한 아트워크 이미지 추위를 이겨낸 붉그스름한 분홍구슬을 심볼로 만든 신년맞이 아트워크 일러스트
작은 추위? 아니오. 가장 추운 시기!
23 소한

스물세 번째 절기 *소한*(01/05)입니다. 엄동설한! 정초한파! 제일 추운 시기예요 🥶

K-alendar | 아트워크
동지 아트워크 이미지 동지팥죽을 형상화한 눈송이에 크리스마스 컬러 팔레트를 입힌 아트워크 일러스트
동지 팥죽 챙겨먹어요!
22 동지

스물두 번째 절기 *동지*(12/21)입니다. 일년 중 가장 밤이 길고 낮이 짧은 절기! 동지팥죽 아트워크를 준비했어요. 🥣

K-alendar | 아트워크
1990년대 한국 아파트. 이사하는 모습을 담은 사진. 출처는 국립민속박물관
APT. 아파트 한국의 아파트를 기록하는 사람들
K-아파트 수집가 4인

”아빠가 집들이할 때 열창하던 윤수일 아파트부터 5살짜리 조카가 따라 부르는 로제 아파트까지” 한국의 아파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하고 이를 사회적, 문화적, 디자인적 시각으로 연구하는 사람들을 소개한다.

어쩔K | 수집가들
대설 아트워크 이미지 포근한 눈이 내린 숲과 오두막을 표현한 아트워크 일러스트
한겨울에 접어드는, 대설
21 대설

스물 한 번째 절기 *대설*(12/7)입니다. 눈이 포근하게 덮인 대설의 풍경을 아트워크 월페이퍼로 만나보세요!

K-alendar | 아트워크
소설 절기를 알리는 프라이스 아트워크 디자인 포근한 눈이 내린 숲과 오두막을 표현한 아트워크 일러스트
첫눈이 내리는, 소설
20 소설

스무 번째 절기 *소설*(11/22)입니다. 첫눈이 내리는 절기를 알림창에 비유하여, 설렘을 표현한 아트워크를 만나보세요!

K-alendar | 아트워크
2024 서울디자인페스티벌 참가 후기 커버 이미지 2 우리가 사랑한 볶음밥 후일담 2편
우리가 사랑한 볶음밥 : 후일담 「2」 왜 이렇게 볶음밥에 진심인 건데?
SDF2024 | 우리가 사랑한 볶음밥

안녕! 프라이스예요 😎 지난 서디페 현장에 참 많은 분이 방문해 주셨어요. 👍👍 프라이스는 브랜드 이름을 주제로 볶음밥에 진심인 부스를 운영했는데요! 🤘 프라이스 디자이너가 맛있게 볶아둔 한국인이 사랑한 볶음밥 키링부터 직접 재료를 골라 나만의 볶음밥 키링 만들기까지! 프라이스 부스에서의 경험이 즐거우셨기를 바랍니다! 서울디자인페스티벌 을 마무리하며 미공개 사진과 소소한 에피소드를 담은 후일담을 가져왔어요! 과연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요?

frice’s eyes | 리뷰
2024 서울디자인페스티벌 참가 후기 커버 이미지 1 우리가 사랑한 볶음밥 후일담 1
우리가 사랑한 볶음밥 : 후일담 「1」 끝나지 않는 포장의 늪
SDF2024 | 우리가 사랑한 볶음밥

안녕! 프라이스예요 😎 지난 서디페 현장에 참 많은 분이 방문해 주셨어요. 👍👍 프라이스는 브랜드 이름을 주제로 볶음밥에 진심인 부스를 운영했는데요! 🤘 프라이스 디자이너가 맛있게 볶아둔 한국인이 사랑한 볶음밥 키링부터 직접 재료를 골라 나만의 볶음밥 키링 만들기까지! 프라이스 부스에서의 경험이 즐거우셨기를 바랍니다! 서울디자인페스티벌 을 마무리하며 미공개 사진과 소소한 에피소드를 담은 후일담을 가져왔어요! 과연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요?

frice’s eyes | 리뷰
2024 서울디자인페스티벌에서 볶음밥 키링을 만드는 프라이스
키링으로 만나는 <한국인이 사랑한 볶음밥>
SDF2024 | 우리가 사랑한 볶음밥

디자이너가 볶아주는 한국맛 볶음밥. '나'라는 이름의 볶음밥은 어떤 모양일까? frice는 한국의 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을 디자이너의 시각으로 재해석한 콘텐츠와 굿즈를 제공하는 브랜드입니다. 이번 서울디자인페스티벌에서는 frice(fried rice의 줄임말) 브랜드의 의미를 주제로 한 ‘볶음밥 키링’ 고객참여형 부스를 운영합니다. 관람객들은 직접 나만의 볶음밥 키링을 만들며 frice 브랜드를 자연스럽게 경험하고, 다양한 굿즈와 한국 전통을 재해석한 프로젝트, 그리고 frice가 선보이는 디자이너 콘텐츠도 함께 만나볼 수 있습니다.

frice’s eyes | 리뷰
입동 절기를 알리는 프라이스 아트워크 디자인 The Beginning of Winter 입동 한자(立冬)를 폭신한 눈처럼 표현한 아트워크
사계절의 마지막 겨울 절기의 시작!
19 입동

열아홉 번째 절기 *입동*(11/7)입니다. 입김 호호 나오는 겨울을 맞이해봐요!

K-alendar | 아트워크
마더그라운드 보부스토어의 보부상 아트워크
보부상의 눈으로 얻어낸 로컬 굿즈 디자인
마더그라운드

이근백 디자이너는 전국을 보부상처럼 돌며 50여 건의 팝업스토어를 연 패션 브랜드 디렉터. 매 번 지역을 상징하는 아트워크 일러스트나 지역의 스토리를 담아낸 한정판 캡슐 컬렉션을 선보였다. 디자이너의 로컬굿즈 디자인 노하우를 기록했다.

한국에서 디자인을 합니다 | DM 그라운드
상강 절기를 알리는 프라이스 아트워크 디자인 맑은 낮이 저물면 뚝 떨어지는 기온에 서리가 내리는 풍경을 나타낸 아트워크
찬 서리에 시들지 않고 각성하는 과일?!
18 상강

열여덟 번째 절기 *상강*(10/23)입니다. 서리의 서늘한 아트워크와 함께 계절의 변화를 느껴보세요!

K-alendar | 아트워크
수묵화가 수록의 조명장치
한지 위에 저 소나무
수록

취미이자 자아실현의 매개체로 그림을 그리는 수묵화가. 나무를 좋아하는 자신의 취향을 종이 위에 꾸준히 옮겨, 서촌의 아름다운 한옥에서 전시를 열 수 있을 정도로 아트워크를 쌓았다.

한국에서 디자인을 합니다 | DM 그라운드
덕화맨숀의 한글 타이포그래피 후드티
나랏말싸미 마참내 제뜨슬 시려펴노라
주목할 만한 한글 디자이너 4인

한글날은 한글... 글꼴이 멋있어... 멋있는 건 디자인🚂 한글날 578돌을 맞아 우리 글꼴을 멋지게 재해석한 디자이너를 소개합니다.

frice’s eyes | 시선
한로 절기를 알리는 프라이스 아트워크 디자인 여름을 물고 떠나는 제비와 가을을 가져오는 기러기의 모습을 우표와 편지로 형상화한 아트워크
여름 제비 안녕~ 기러기 어서와!
17 한로

열일곱 번째 절기 *한로*(10/08)입니다. 깊어가는 가을을 물어오는 프라이스 아트워크와 함께 한로를 느껴보세요!

K-alendar | 아트워크
서울 원서동 긷에서 활판인쇄 기반 디자인 작업을 하는 최민영 디자이너의 모습
한국에 흐르는 마음을 활판에 새깁니다
인쇄소 긷 디자이너 최민영

전통 한지 + 근대활판인쇄술 + 현대적인 쓸모 = 한국적인 미감을 지닌 시각디자인?!

한국에서 디자인을 합니다 | 인터뷰
추분 절기를 알리는 프라이스 아트워크 디자인 기하학 일러스트를 통해 천문학적으로 태양이 황경 180도의 추분점을 통과하는 장면을 천구 좌표계로 표현한 아트워크
이제부터는 밤이 더 길어질 차례
16 추분

열여섯 번째 절기 *추분*(09/22)입니다. 프라이스 아크워크와 함께 무르익는 가을을 만끽해보세요!

K-alendar | 아트워크
여럿이 모여 불판 위에 고기를 올려 구워먹는 한국식 구이요리
한식 고기구이의 아슬아슬한 중재자, K-불판
음식 평론가 이용재

야외에서 구워 먹는 고기! 절대 놓칠 수 없던 우리! 가족끼리 친구끼리 모여 휴가를 떠나면, 우리는 늘 불판을 깔고 고기를 구워먹었다. 길거리 화로구이집부터 바다 건너 K-BBQ까지. 그 중심에는 세계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조리도구인 'K-불판'이 있었다. 한식 고기구이의 독특한 경험과 맛을 결정짓는 조리도구인 'K-불판'을 이용재 음식평론가와 함께 알아보자.

어쩔K |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