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1회 프라이스 그릇 탐구 영역 (음식·문화) : 문제 해설

  • frice’s eyes

제1회 프라이스 그릇 탐구 영역 (음식·문화) : 문제 해설

시선
제1회 프라이스 그릇 탐구 영역 (음식·문화)
– [문제 해설] Q. 다음 그릇에 어울리는 음식을 고르시오.

아직 문제를 안 풀어보셨나요?   문제 풀러가기 ->  😎

수능 문제지 형식을 차용한 그릇탐구영역 해설지 커버

2024년도 프라이스 문제지
그릇탐구 영역 (음식·문화)
문제해설

그릇 모음 이미지
1. 초록색 멜라민 그릇
(초록색 멜라민 그릇 이미지와 설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떡볶이 54명
분식 (김밥, 순대, 튀김 등) 32명
짜장면 2명
하얀 가래떡 1명
돼지고기 김치찜 1명

떡볶이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어요. 떡볶이와 함께 먹는 분식류 (김밥, 순대, 튀김 등)이 2위로, 초록색 멜라민 접시는 떡볶이와 친구들 접시로 볼 수 있겠네요.
그릇탐구영역 문제해설지에서 초록색 멜라민 그릇 설문조사결과를 보충설명

[같이 알아보세요!] 한식 외 어울릴 것 같은 음식은?
1위 짜장면 (10명)
2위 탕수육 (7명)
3위 야끼우동 (6명)
4위 양꼬치 (4명)

기타 : 파스타, 반미, 타코, 에스카르고, 퓨전 한식, 파인애플 볶음밥, 카나페, 핫도그, 길거리 토스트...

짜장면은 움푹한 멜라민 그릇에 잘 어울리지만, 접시에는 담기 어렵죠. (쟁반짜장 제외!) 그릇의 형태도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잊지 마세요!
1. 스테인리스 식기
(스테인리스 식기 이미지와 설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밥 89명
탕국 1명

쌀밥, 흰쌀밥, 공깃밥, 고봉밥. 오로지 밥밥밥!
그렇습니다. 이 그릇의 이름은 스뎅 '밥그릇'이라고 합니다.
그릇탐구영역 문제해설지에서 스테인리스 식기 설문조사결과를 보충설명

[같이 알아보세요!] 한식 외 어울릴 것 같은 음식은?
1위 없음 (30명) (역시 밥이 최고인가..
2위 리조또 (8명)
3위 스프/스튜 (7명)
4위 빙수 (4명)

기타 : 카레, 연어동, 찐빵, 초밥, 샐러드, 세비체, 사료, 방울토마토, 밥/쌀 관련 음식...

이번 문제 중 가장 쉬운 문제였어요. 스뎅하면? 공깃밥이 떠오르지만 다른 음식들은 어떤가요?
3. 양은 사발
(양은 사발 이미지와 설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막걸리 (동동주) 55명
라면 34명
묵 1명

양은 사발에 담긴 뽀얀 막걸리. 역시 많은 분들이 그 조화로움을 잘 알고 있군요! 
라면은? 아마도 크기를 잘못 봤겠죠? 그릇 크기도 꼭 같이 확인하세요!
그릇탐구영역 문제해설지에서 양은 사발 설문조사결과를 보충설명

[같이 알아보세요!] 한식 외 어울릴 것 같은 음식은?
1위 없음 (38명)
2위 짜장면 (10명)
3위 파스타 (8명)
4위 아이스크림 (6명)

기타 : 아이스 커피, 사라다, 우동, 튀김, 피클, 와인, 라멘, 뇨끼, 샤베트, 스튜, 스프, 오꼬노미야끼, 일본식 덮밥, 우유, 깐풍기, 팝콘, 에그타르트, 동물사료..

시원한 막걸리를 상상하고 나니 다른 건 생각이 안 나는 것 같아요. 막걸리인 듯 우유 한잔, 막걸리 대신 차가운 아이스커피, 아이스크림. 꽤 괜찮을지도?
4. 양은 그릇
(양은 그릇 이미지와 설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비빔밥 52명
라면 18명
김치찌개 12명
매운 갈비찜 3명
묵사발 2명

오색빛깔 고운 한국의 대표 음식 비빔밥! 양은(양푼)에 먹는 게 역시 제맛이겠죠?
그릇탐구영역 문제해설지에서 양은 그릇 설문조사결과를 보충설명

[같이 알아보세요!] 한식 외 어울릴 것 같은 음식은?
1위 없음, 모르겠음, 곤란함 (38명)
2위 파스타 (스파게티, 해장파스타) (15명)
3위 스튜 (7명)
4위 샐러드 (6명)

기타 : 우동, 짜장면, 짬뽕, 나베, 깐쇼새우, 마라탕, 쌀국수, 짜파게티...

얼큰함이 추가된 해장 파스타는 왠지 그럴 듯 하네요. 대체로 국물 음식이 어울릴 것 같다고 하는데요. 저는 샐러드는 다른 그릇에 먹고 싶네요^^
5. 흰색 멜라민 접시
(흰색 멜라민 접시 이미지와 설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김치, 깍두기 (겉절이, 소박이, 안익은 중국산 김치...) 39명 
밑반찬, 반찬류 (진미채, 콩자반, 마른반찬, 나물반찬...) 37명
단무지 6명
잡채 3명
비엔나 2명

흰색 멜라민 접시는 국밥집, 백반집 등 우리 주변의 한식당에서 가장 애용하는 그릇이에요.
김치, 깍두기, 온갖 반찬류들을 다 품고 우리의 식탁을 풍성하게 해줍니다. 어떤 반찬을 담아도 안 어울리기가 더 어려운 그릇이죠.
그릇탐구영역 문제해설지에서 흰색 멜라민 접시 설문조사결과를 보충설명

[같이 알아보세요!] 한식 외 어울릴 것 같은 음식은?
1위 샐러드/사라다 (20명)
2위 초밥 (14명)
3위 짜사이 (10명)
4위 파스타 (9명)

기타 : 케이크, 타코, 피자, 치킨, 생선, 마파두부, 연어스테이크, 베이크드빈, 관자요리...

한식인 듯 한식 아닌 한식 같은 사라다! 케이크도 아니라고 할건가요?

그릇의 정석, 오래된 궁합

초록색 멜라민 그릇 = 떡볶이 접시
스테인리스 식기 = 스뎅 밥그릇
양은 사발 = 막걸리 잔
양은 그릇 = 양푼(양은) 비빔밥
흰색 멜라민 접시 = 반찬 그릇, 앞 접시

이 그릇들은 이미 이렇게 음식으로 대표 되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한국의 그릇, ‘K 그릇’이라고 할 수 있어요. 다른 것들을 담으려고 애써 생각해 봐도 떠오르지 않기도 하고, 입맛이 왠지 떨어지는 느낌이 들기도 하는데요. 안의 내용물이 아무리 좋아도 그것을 담는 그릇이 내용물과 어울리지 않으면, 음식이 돋보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맛 역시 반감이 되죠.

초밥을 담은 한국 대표 식기
왼) 초록색 멜라민 그릇에 담긴 초밥
오) 스테인리스 식기에 담긴 초밥

아직 둘 다 받아들이기는 어렵지만 자꾸 보니까 왼쪽은 괜찮은 것 같기도? ⓒfrice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어울림을 판단할까요? 그릇의 생김과 크기에 따라 음식의 담음새를 결정하고, 역사와 문화, 그리고 사회적으로 학습된 관념에 의한 동조의 결과로 판단하기도 합니다. 값비싸고 고급스러운 그릇들은 아니지만, 아직까지 우리 곁에 남아있는 이러한 그릇들은 단순히 합리적인 도구를 넘어 이제는 추억이라는 맥락이 더해져 더욱 특별하게 느껴집니다.

이렇게 일상에서 너무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있던 학습된 관념을 인식하고, 형태, 크기, 소재를 통해 그릇이 전달하는 이야기를 이해하고 나니 새로운 음식을 담아보고 싶지 않으신가요?

오늘은 익숙한 것들에 오늘만 담을 수 있는 새로운 이야기와 기억을 담아내는 창조적인 활동을 해보는 건 어떨까요?

😈 그릇에 어떤 음식을 담아야 하는지 정답이 있다고 할 순 없지만, 우리 무의식 속에 자리하고 있는 사회적으로 학습된 관념은 존재합니다. 이것들을 알고 있으면 그 문화권에 속해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되죠. 우리의 일상에 숨어있던 역사와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고, 거기에 새로운 이야기들을 더 담아보아요!

이 그릇들이 어떻게 우리 곁에 자리하게 되었는지 궁금하시다면, ‘한 그릇에 담긴 실용과 전통 – 20세기 K 그릇 탄생 비화’ 를 읽어보세요.

글/그래픽 프라이스

Loading..